자크 루이 다비드 <나폴레옹 대관식>: 그림 해설, 시대적 배경, 등장인물 분석
자크 루이 다비드의 <나폴레옹 1세와 조세핀 황후의 대관식 Coronation of Emperor Napoleon I and Empress Josephine>은 나폴레옹의 대관식을 기념하여 제작된 것으로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을 잘 담아내고 있습니다.
나폴레옹(Napleon Bonaparte 1, 1769-1821, 재위 1804-1814)은 1789년 프랑스혁명 이후 혼란스러운 정국을 수습하고 1799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1804년 국민투표를 통해 99.93%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 황제로 즉위했습니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교황 비오 7세(재위 1800-1823)가 황제의 관을 씌워줄 예정이었죠. 하지만 대관식장에서 나폴레옹은 그 관을 두 손으로 받아 들고 자신의 머리에 씌웠습니다. 이는 교황보다 위에 있는 절대 권력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였지요.
다비드(Jacques-Louis David, 1748-1825)는 나폴레옹의 요청에 따라 대관식을 기록화로 남겼습니다. 가로 980cm, 세로 620cm에 달하는 엄청난 크기로, 루브르 박물관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실제 나폴레옹의 키가 169cm 정도인데 176cm로 그려져 있으며, 150여 명이 일제히 나폴레옹 한 사람에게 시선을 집중시켜 극적인 효과를 높였습니다.
자크 루이 다비드는 소르본 근처 큰 예배당을 빌려 행사 때와 같은 배치에 따라 당시의 복장을 입힌 마네킹을 세우거나 참석했던 사람들을 오도록 해서 인물들의 초상화를 하나씩 그려 넣었습니다. 나폴레옹은 자신을 고대 영웅들과 비교하는 것을 좋아하여 대관식에서도 고대 로마 황제의 의복을 입고 월계관을 썼습니다. 그런데 이 그림은 황제가 황제의 관을 받는 장면이 아니라 황후인 조세핀에게 나폴레옹이 황후의 관을 씌워주는 장면이라는 점이 특이합니다.
작품 속에 십자가와 교황을 등장시키면서도, 나폴레옹을 중심에 두는 구도를 통하여 혁명과 전통, 종교와 세속 권력의 균형을 이루려고 했습니다. 그림 속 중앙 왼쪽에 앉아 있는 교황 비오 7세는 무기력한 표정을 짓고 있네요. 원래 교황은 단순히 앉아 있는 모습이었는데, 나폴레옹의 지시로 후에 오른손을 들어 강복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고 합니다. 실제 그림을 보면 교황의 오른팔 부분이 흐릿하게 그려져 있다고 하네요.
그림에는 나폴레옹의 가족들이 등장합니다. 화면 중앙의 귀빈석 가운데 그려져 있는 중년의 여인은 나폴레옹의 어머니 마리아 레티지아 보나파르트인데, 실제 대관식에 참석하지는 않았습니다. 조세핀 황후 뒤쪽에는 나폴레옹의 형제들이 보이네요. 밝은 색 연회복을 입고 있는 여성들은 나폴레옹의 동생들이고, 나란히 서 있는 여성은 그의 제수씨와 형수, 어린아이는 조카인 왕자 샤를입니다. 이렇게 가족을 그려 넣은 것은 보나파르트 가문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나폴레옹의 뒤쪽에서 그를 바라보는 한 인물입니다. 이는 나폴레옹을 역사적인 황제들과 동일 선상에 놓으려는 의도로 보이는데, 고대 로마 황제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장치일 수도 있습니다. 나폴레옹은 대관식에서도 로마 황제의 의복을 착용하며 자신을 고대 영웅과 비교하기를 즐겼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완성된 그림을 보게 된 나폴레옹의 반응은 어떠했을까요? 나폴레옹은 1시간 가까이 말없이 감상하고 나서 황제의 관을 잠시 벗고 다비드 앞에서 고개를 숙여 최상의 경의를 표했다고 하네요. 훗날 다비드를 황실 공식 화가로 임명했고요.
이렇게 다비드는 황실 최고 화가의 자리에 올랐고, 그 후 프랑스의 예술은 다비드의 신고전주의를 중심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비평가들은 이 작품의 압도적인 크기에 비해 감동은 좀 떨어진다고 합니다. 철저하게 계산된 구도로 인해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지만,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감정 표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인물들이 나폴레옹만을 바라보고 있어 생동감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어쩌면 나폴레옹의 절대 권력을 너무나도 잘 보여주는 그림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 작품은 나폴레옹 시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걸작으로 신고전주의 완벽한 기법을 보여주어 루브르 박물관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품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작품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성인가, 불경인가? 엘 그레코 <그리스도의 옷을 벗김 El Espolio> (0) | 2025.03.14 |
---|---|
컨스터블의 건초마차: 영국 농촌의 아름다움을 담은 선구적인 풍경화 (3) | 2025.03.11 |
브리턴 리비에르의 <공감 sympathy> "누군가 나를 공감해줘요!" (1) | 2025.03.04 |
화가로서의 확실한 자부심을 보여준 앙리 루소의 <자화상> (1) | 2025.02.28 |
얀 반 에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Arnolfini Portrait> (1) | 2025.02.19 |
댓글